-
2030 영끌족 100명 중 3.8명부동산이슈 2024. 5. 28. 23:50반응형
<2-30대의 영끌사례는 과대포장>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부린이입니다. 2020~2022년 부동산 가격 상승기에 2-30대의 영끌사례는 과대포장이라는 지적이 나왔는데요. 오늘은 관련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끌족 3.8명?
2020년 상반기부터 2022년 상반기까지 서울 소재 3억원 이상 본인 거주용 주택을 구입한 2-30대 영끌 매수자의 비중은 (DSR-Debt Service Ratio- 40% 기준으로 설정했을 때) 3.8%수준인 것으로 추정되며, 오히려 자기자본을 갖추고 주택을 구입한 경우가 10.9%, 원가족으로부터 비과세 범위를 초과하는 지원금을 받은 경우가 19.7%로 ‘영끌 매수자’보다 많았다고 합니다.
결국 우리가 생각하는 영끌족은 100명중 3.8명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2-30대 전반을 영끌하는 세대로 묘사한 많은 언론보도는 과장되었다는 분석입니다.* 영끌족의 기준을 DSR(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 ) 40%기준으로 잡음
* 2020-22년6월. 서울 소재 3억원 이상 주택을 매수한 자금조달계획서를 분석을 토대로한 결과
(출처: 한국 부동산원 '20·30세대 ‘영끌’에 관한 실증분석')
진짜 현실은?
많은 언론이 극단적인 사례에 집중하며 보도한 결과 ‘20 ․ 30세대는 영끌하는 세대’라는 인식이 주택시장에 빠르게 확산되어 오히려 '부모-청년' 세대 간 부의 이전 현상은 ‘영끌 담론’에 가려져 거의 논의되지 않고, 그걸 전부 가렸다고 지적했습니다.
*작성한 이미지는 개인 소장의 목적으로는 자유롭게 다운로드 가능하나, 재배포 및 DB는 금지합니다.
반응형'부동산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기 신도시 정비 선도지구 선정, 착공은 언제? (0) 2024.06.12 논란의 사전청약, 34개월만에 폐지 (0) 2024.05.30 창원 투기과열지구, 부산·대구 등 조정대상지역 지정 (규제내용) (0) 2020.12.18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의무화 (0) 2020.11.27 김포, 부산 해운대, 대구 수성 조정대상지역 지정 (규제내용) (0) 2020.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