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부동산세 계산방법 (세율 납부시기 및 납부대상)부동산상식 2020. 12. 4. 17:00반응형
<종합부동산세>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부린이입니다. 매년 12월 1일부터 15일까지는 종부세 납부기간입니다.
올해 종부세 납부고지 인원은 77만 4천 명으로 작년 59만 명에 비해 약 25%가 증가하고 세액도 작년 대비 27.5% 늘었다고 합니다.
종부세 대상자와 세액 증가 원인은 집값 상승으로 공시 가격이 오르고 과세표준인 공정시장가액 비율이 90%로 상향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오늘은 종합부동산세와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종합부동산세란?
종합 부동산세(종부세)는 부동산 보유 정도에 따라 조세의 부담 비율을 달리하여 납세의 형평성을 제고한 국세로, 주택에 대한 종합부동산세와 토지에 대한 종합부동산세를 합한 금액입니다. 부동산 투기수요를 억제하여 부동산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2005년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종합부동산세 납세의무대상
종부세는 인별로 과세되며 주택의 경우 6월 1일 기준으로 공시가 6억 원을 초과하는 주택이 있다면 종부세를 내야 합니다.
납세의무자는 납부기간(12월 1일~12월 15일)에 직접 금융기관에 납부하거나 가상계좌, 인터넷 뱅킹, 홈택스 접속을 통해 전자·신용카드 납부하면 됩니다.
<종합부동산세 납세의무대상, 이미지의 재배포 및 DB 금지합니다.> 종합부동산세 계산 방법은?
종합부동산세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합부동산세 계산 방법, 이미지의 재배포 및 DB 금지합니다.> 주택 공시 가격에 인별로 6억 원을 공제하고 거기에 공정시장가액 비율을 곱한 금액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이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면 산출세액이고 여기에 세액공제 등을 적용받으면 최종 납부할 세금이 됩니다.
예를 들어 보유한 주택의 공시 가격이 10억 원이라면 공제금액 6억 원을 차감한 4억 원에 공정시장가액 비율인 90%를 곱하면 3억 6천만 원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이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면 되는데 주택수에 따른 종합부동산세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택수에 따른 종합부동산세 세율, 출처-국토교통부> 종부세 계산기
지금까지 종부세 계산하는 법에 대한 설명을 드렸는데요. 자주 바뀌는 부동산 정책에 계산법이 많이 헷갈립니다. 그런데 이런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사이트가 있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KB부동산 리브 온'의 세금 계산기입니다.
KB부동산 리브온 ( Liiv ON )
해당 평형은 시세 서비스 중단중입니다.
onland.kbstar.com
사이트 접속 후 세금계산기를 클릭합니다.
<출처-KB부동산 리브온> 앞서 설명해드린 종부세 계산법을 어느 정도 인지하면서 모의계산을 하면 어렵지 않게 종부세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작성한 이미지는 개인 소장의 목적으로는 자유롭게 다운로드 가능하나, 재배포 및 DB는 금지합니다.
반응형'부동산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축·증축·개축·재축·이전(건축물의 건축 구분) (0) 2020.12.25 취득세 계산 및 취득세 중과 제외주택 알아보기 (0) 2020.12.23 필지, 획지(1필지 등록기준) (0) 2020.12.02 베드타운이란?(베드타운, 직주근접) (0) 2020.11.25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대상 계산 (0) 2020.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