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적률이란? 건폐율이란? (아파트 용적률 건폐율 확인방법)부동산상식 2020. 8. 11. 14:20반응형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부린이입니다.
얼마 전 8.4 주택공급대책 중 용적률을 300~500% 수준으로 완화하여 층수를 높일 수 있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용적률을 상향시키면 더 많은 주택을 지을 수 있구나’라는 막연한 생각이 들지만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용적률이 무엇인지, 그리고 관련 용어인 건폐율, 연면적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연면적이란?
<출처-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연면적이란 대지에 들어선 하나의 건축물의 바닥면적의 합계를 말합니다.(지상층은 물론 지하층, 주차장 시설 등을 모두 포함) 예를 들어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된 총 4층의 근린생활시설을 지었을 경우 각 층의 바닥면적이 300㎡이라면 연면적은 300×4=1,200㎡이 됩니다.
건폐율이란?
<출처-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건폐율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예를 들어 건폐율이 40%이고, 대지면적이 1,000㎡이면 이 부지에 지을 수 있는 건축면적은 400㎡입니다. 보통의 아파트 건폐율은 17%입니다. 건폐율은 아파트 동 간격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건폐율이 높을수록 일조·채광·통풍 등에서의 불편함이 생길 것입니다.
용적률이란?
<출처-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용적률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연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지하층, 지상 주차장 및 피난안전구역 등은 제외)
예를 들어 대지면적이 300㎡이고 각층 바닥면적이 150㎡인 3층 건물의 용적률은 150%입니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500㎡의 면적에 용적률이 300%이라고 한다면 연면적이 1500㎡인 건물을 지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건폐율이 50%라고 하면 1500(연면적) 나누기 250(500㎡의 50%)으로 6층까지 건물을 올릴 수 있습니다.
노원구 중계동에 있는 아파트를 예로 대입해보겠습니다.
<노원구 중계동 아파트> 내년에 재건축연한이 되는 용적률은 193%, 건폐율은 17%, 15층인 아파트입니다. (제3종 일반주거지역/ 최대 용적률 300%)
만약 용적률을 293%로 올리면, 건축연면적의 비율도 그만큼 올라가기 때문에 현재보다 약 7층을 더 올려 건축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단순 계산입니다.)
서울 아파트 용적률 건폐율 확인 방법은?
건물 별 건폐율과 용적률 확인 경로: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 http://land.seoul.go.kr/land/ → 부동산 종합정보 → 주소 입력 후 검색 → 건축물 정보
<서울부동산정보광장-부동산종합정보> 다음 포스팅에서 용도지역 구분과 용도지역에 따른 용적률과 건폐율의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부동산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TV, DTI, DSR 이란?(주택담보대출) (0) 2020.08.22 토지거래허가제란? (토지거래허가구역, 기간, 기준면적) (0) 2020.08.20 청약시 무주택으로 보는 소형주택기준은? (0) 2020.08.18 대지지분이란? 무상지분율이란? (feat.재건축) (0) 2020.08.16 용도지역이란?(용도지역별 용적률 건폐율) (0) 2020.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