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억 전세를 월세로 바꿀시 얼마를 내야할까?(전월세 전환율 계산)부동산이슈 2020. 9. 30. 16:00반응형
<전월세 전환율 계산>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부린이입니다. 부동산 시장에서 점점 전세가 사라지고 있다고 합니다. 기존 전세였던 집도 월세로 바뀌는 경우도 많다고 하는데요. 만약 4억 전세를 월세로 바꿀시 얼마를 내야 할까요? 오늘은 최근에 바뀐 전월세 전환율에 따른 전세→월세 계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전월세 전환율 4.0%→2.5%
대출금리, 타 금융상품 수익률 등에 비해 법정 전월세 전환율이 높은 수준이어서 임차인이 전세로 거주하는 경우보다 월세로 거주하는 경우의 주거비 부담이 커지는 상황입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법정 전월세 전환율 상한 산정 시 기준금리에 더하는 이율을 현 3.5%에서 2%로 조정됩니다. 이에 따라 현재 기준금리가 0.5%인 점을 고려해 현행 4.0%에서 2.5%로 낮아지게 됩니다. 이 개정안은 10월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이는 개정된 임대차법의 내용으로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의 주택임대차 보호법 포스팅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전월세 전환율 2.5%, 임대차 정보열람권 부여 (주택임대차보호법)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령개정안>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부린이입니다. 앞으로 집주인의 실거주를 이유로 계약 갱신을 거부당한 임차인은 해당 주택의 임대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frankie0099.tistory.com
전세→월세 계산하기
먼저 현행대로(4.0%) 전월세 전환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보증금 4억 전세를 1억+월세로 전환할 경우,
(보증금 제외) 3억 원 x0.04=750만 원
1200만 원÷12개월=약 100만 원
보증금 1억 원+월 100만 원입니다.
이번엔 개정된 임대차법에 따른 전월세 전환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보증금 4억 전세를 1억+월세로 전환 시, 전환율 2.5%를 적용하면
(보증금 제외) 3억 원 x0.025=750만 원
750만 원÷12개월=약 62.5만 원
보증금 1억 원+월 62.5만 원입니다.
기존 대비 월세가 37.5만 원 적어집니다.
<전월세 전환율 계산, 이미지의 재배포 및 DB 금지합니다.> 월세→전세 전환율은?
반대로 기존 월세를 전세로 전환할 땐 전월세 전환율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법규정은 아직 마련돼 있지 않다고 합니다. 월세를 전세로 바꾸려 한다면 시장 전환율을 참고해 양자가 합의해야 하는데, 시장 전환율은 전월세 전환율과 함께 한국감정원이 매달 발표하고 있습니다.
*작성한 이미지는 개인 소장의 목적으로는 자유롭게 다운로드 가능하나, 재배포 및 DB는 금지합니다.
반응형'부동산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혼부부·생애최초 특공 소득기준 완화 (0) 2020.10.16 생애최초 특별공급 민영주택 확대(생애최초,신혼부부 특별공급 청약 조건) (0) 2020.10.02 1주택자 전세자금 대출 가능할까?(1주택자 전세자금 대출 조건 및 한도) (0) 2020.09.28 취득세-주택수 합산 및 중과 제외 주택 유형은? (0) 2020.09.21 GTX 노선 알아보기(GTX-A, GTX-B, GTX-C, GTX-D) (0) 2020.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