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이슈

2030 영끌족 100명 중 3.8명

공부하는 부린이 2024. 5. 28. 23:50
반응형

<2-30대의 영끌사례는 과대포장>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부린이입니다. 2020~2022년 부동산 가격 상승기에 2-30대의 영끌사례는 과대포장이라는 지적이 나왔는데요. 오늘은 관련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끌족 3.8명? 

2020년 상반기부터 2022년 상반기까지 서울 소재 3억원 이상 본인 거주용 주택을 구입한 2-30대 영끌 매수자의 비중은 (DSR-Debt Service Ratio- 40% 기준으로 설정했을 때) 3.8%수준인 것으로 추정되며, 오히려 자기자본을 갖추고 주택을 구입한 경우가 10.9%,  원가족으로부터 비과세 범위를 초과하는 지원금을 받은 경우가 19.7%로  ‘영끌 매수자’보다 많았다고 합니다.

결국 우리가 생각하는 영끌족은 100명중 3.8명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2-30대 전반을 영끌하는 세대로 묘사한 많은 언론보도는 과장되었다는 분석입니다.

 

<출처: 한국 부동산원 '20·30세대 ‘영끌’에 관한 실증분석'>

 

* 영끌족의 기준을 DSR(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 ) 40%기준으로 잡음

* 2020-22년6월. 서울 소재 3억원 이상 주택을 매수한 자금조달계획서를 분석을 토대로한 결과

 

 

(출처: 한국 부동산원 '20·30세대 ‘영끌’에 관한 실증분석')

 

 진짜 현실은? 

많은 언론이 극단적인 사례에 집중하며  보도한 결과 ‘20 ․ 30세대는 영끌하는 세대’라는 인식이 주택시장에 빠르게 확산되어 오히려 '부모-청년' 세대 간 부의 이전 현상은 ‘영끌 담론’에 가려져 거의 논의되지 않, 그걸 전부 가렸다고 지적했습니다.

 

*작성한 이미지는 개인 소장의 목적으로는 자유롭게 다운로드 가능하나, 재배포 및 DB는 금지합니다.

반응형